728x90
코딩테스트 연습 - 불량 사용자
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.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��
programmers.co.kr
이 문제는 <set> STL과 재귀 함수를 이용하면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|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bool used[10];
int ret = 0;
set<string> S;
// 비교하는 함수
bool Compare(string a, string b){
//길이가 틀리다면 다른 문자!
if(a.length() != b.length())
return false;
// *이 아니고 서로 문자가 다르면 다른 문자!
for(int i =0; i <a.length(); i++)
if(a[i] != b[i] && b[i] != '*')
return false;
return true;
}
void getResult(int idx, vector<string> user_id, vector<string> banned_id){
if(idx == banned_id.size()){ // 기저조건
string tmp;
for(int i =0; i < user_id.size(); i++)
if(used[i]) tmp+= i+'0'; //인덱스 값을 문자열로 넣는다.
// 사용 된 문자라면 함수를 종료한다.
if(S.find(tmp) != S.end())
return;
// set에 tmp를 추가한다.
S.insert(tmp);
ret++;
return;
}
for(int i = 0; i <user_id.size(); i++){
//현재 사용 된 문자가 아니고 서로 같은 문자라면
if(!used[i] && Compare(user_id[i], banned_id[idx])){
used[i] = true;
getResult(idx+1, user_id, banned_id);
used[i] = false;
}
}
}
int solution(vector<string> user_id, vector<string> banned_id) {
getResult(0, user_id, banned_id);
return ret;
}
// int main(){
// vector<string> user_id;
// vector<string> banned_id;
// user_id.push_back("frodo");
// user_id.push_back("fradi");
// user_id.push_back("crodo");
// user_id.push_back("abc123");
// user_id.push_back("frodoc");
// banned_id.push_back("*rodo");
// banned_id.push_back("*rodo");
// banned_id.push_back("******");
// cout<<solution(user_id, banned_id)<<endl;
// // cout<<S.size()<<endl;
// }
|
위의 코드에서는 S.find(tmp) 를 이용해서 만약 tmp 문자열이 이미 사용된 문자열이라면 함수가 종료 되도록 구현을 했습니다. 그리고 만약 사용 된 문자가 아니라면 S에 insert를 해주고 ret 값을 + 해줍니다.
그리고 최종적으로 ret 값을 리턴해주어 결과 값을 얻는 방식인데요
근데 사실 set 함수는 내부적으로 중복된 데이터 값을 지워버리기 때문에
이 부분을 지워주시고 return 값을 S.size()로 하셔도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이 문제의 경우 범위 자체가 8 밖에 되지않아 처리하기 어떻게 하셔도 상관 없지만 제 생각에 만약 범위가 더 커진다면 내부적으로 중복된 데이터 값을 처리하기 위해 더 많은 연산처리가 필요하지 않을까? 하는 생각이 듭니다. hash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는거라 상관이 없나? 아무튼 ^^ 알고리즘 코딩은 항상 최악을 경우의 수에 두고 최고의 효율을 구현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맙시다!
728x90
'Algorithm Study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22 KaKao Blind Recruitment) 신고 결과 받기 (0) | 2022.06.26 |
---|---|
(카카오 인턴십)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(0) | 2020.08.06 |
(카카오 인턴십) 호텔 방 배정 (0) | 2020.08.04 |
(2019 카카오 인턴십) 키패드 누르기 (0) | 2020.07.29 |
(2019 카카오 인턴십) 튜플 (0) | 2020.07.27 |
댓글